끈적한 가래가 지속적으로 분비되면 침을 삼키는 것이 불편하고 심한 경우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합니다. 감기 등으로 인해 짧은 기간 증상이 나타난다면 다행이지만 긴 시간 가래가 분비된다면 만성기관지염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끈적한 가래와 만성 기관지염
가래는 평소에도 지속적으로 분비되며 우리 기관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보통의 경우에는 위장관으로 삼키면서 제거되지만 만성 기관지염의 경우에는 양이 많아지면서 끈적해지고 가래로 인해서 기침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기침을 동반한 끈적끈적한 가래가 1년 중 3개월 이상 지속된다면 만성 기관지염을 의심해 볼 수 있으며 대부분 2년 넘게 지속됩니다. 최근에는 공기의 오염, 노령 인구 증가, 생활 습관 등으로 만성 기관지염을 앓고 있는 환자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만성기관지염 원인은?
만성기관지염은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서 발병하는데 흡연, 대기오염, 호흡기 감염 등이 주된 원인입니다. 이러한 원인들에 지속적,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가래, 기침 등이 만성적으로 변하게 되며 호흡을 할 때 숨소리가 거칠게 되고 조금만 움직여도 숨이 차며 심한 경우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오기도 합니다.
20대의 만성기관지염은 대부분 흡연이 원인이 되며 처음에는 가벼운 기침과 가래로 시작되었다가 흡연 기간이 길어지는 경우 나이가 들면서 호흡곤란, 만성 가래, 만성기침 등으로 증상이 악화됩니다.
호흡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관지는 우리가 들이마시는 공기에 매우 예민하게 반응하며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오염된 대기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경우에도 만성기관지염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대기에 있는 분진 및 미세먼지가 지속적으로 기관지 및 폐에 축적되는 경우, 직업상 화학약품에 오랜 기간 노출되는 경우, 조리나 난방으로 인해 오염된 실내 공기를 계속적으로 호흡하는 경우를 조심해야 합니다.
만성기관지염 어떤 검사를 해야 할까요?
만성기관지염은 크게 폐기능 검사, 기관지확장제 투여 후 폐기능 검사를 진행합니다. 이밖에도 객담(가래) 검사, 혈액검사, 심전도 검사를 진행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흉부 X-ray를 통해서 다른 폐질환 여부를 확인하기도 합니다.
만성기관지염 완치가 가능할까요?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염증은 우리가 호흡하는 기도를 완벽하게 재생하지 못하게 되고 그로 인해서 형태적으로나 기능적으로 변형을 초래하며 악화시킵니다. 따라서 만성기관지염을 완치하고 이전의 상태로 완전히 되돌리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만성기관지염을 일으키는 원인을 멀리하고 꾸준히 치료하게 된다면 계속해서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건강 > 건강백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고 소리 지르며 깨는 우리 아이, 괜찮아 질 수 있을까? (0) | 2022.10.03 |
---|---|
대장암 검사, 꼭 대장내시경 받아야 할까? (0) | 2022.09.22 |
고등학교 진학 후 키 성장 얼마나 가능할까? (0) | 2022.08.24 |
여성 폐경기와 호르몬 치료의 필요성 (0) | 2022.08.17 |
엄지 발가락 통증을 일으키는 통풍, 원인은 '이것'? (0) | 2022.07.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