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건강백서

렌즈만 끼면 충혈되는 눈, 원인과 예방법은?

by Hany 2022. 3. 13.
반응형

렌즈만 끼면 충혈되는 눈

  안경을 쓰지 않고 시력 보정을 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는 우리 생활 속에서 의료, 미용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외모에 예민해지는 시기인 10대부터 시작하여 20대, 30대까지 10년 이상 콘택트렌즈를 사용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특히 요즘은 꼭 시력 문제가 아니더라도 컬러 렌즈를 착용하여 자신만의 스타일과 분위기를 만들기도 합니다. 하지만 콘택트렌즈를 사용하는 많은 분들이 빨갛게 충혈되는 눈 때문에 불편함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렌즈를 착용하는 모습입니다.
사진 pixabay

원인은 결막염일까?

 렌즈 착용으로 인하여 생기는 충혈과 실핏줄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충혈이 생기는 주요 원인 몇 가지를 살펴봅니다.

1. 눈에 공급되는 산소 부족

 눈은 혈관이 없어 필요한 산소를 외부로부터 공급받습니다.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여 각막이 덮이게 되면  필요한 산소의 양을 충분히 공급받지 못하는 상태가 되고 이 상태가 지속되면 눈이 건조해지게 됩니다. 건조해진 눈은 피로감을 느끼게 되고 눈이 빨갛게 충혈되거나 실핏줄이 생기게 됩니다. 특히 컬러렌즈의 경우에는 일반 콘택트렌즈에 비하여 차단되는 산소의 양이 많기 때문에 주의하여 착용하여야 합니다. 

2. 결막염

  결막은 눈꺼풀의 안쪽과 안구를 감싸고 있는 투명하고 얇은 점막입니다. 결막염은 이곳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결막염이 생기게 되면 눈이 빨갛게 충혈될 뿐만 아니라 눈을 깜빡일 때 불편한 느낌이 듭니다. 또한 필요 이상의 눈곱이 생기기도 하고 눈물, 가려움증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대부분은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증상이 나타나게 되며 장시간 착용한 렌즈가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또한 콘택트렌즈가 각막에서 찢어지게 되면 각막을 손상시키고 손상된 각막으로 세균 감염이 일이나 충혈과 결막염이 생기게 되니 이 또한 조심해야 합니다.  

3. 잘못된 사용 방법과 위생

  콘택트렌즈의 사용이 익숙해지면 기본적인 사용방법과 위생을 소홀히 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회용 콘택트렌즈를 며칠에 걸쳐 여러 번 착용하는 것, 권장시간인 8시간을 초과하여 사용하는 것(컬러렌즈의 경우에는 4시간),  렌즈를 끼거나 뺄 때 손을 씻지 않는 것 등등 혹시 나도 위와 같이 잘못된 방법으로 사용하지 않았나 평소 습관을 다시 한번 점검해보셔야 합니다. 특히 손에 묻은 세균들이 눈에 닿게 되면 결막염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눈에 관련된 질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충혈된 눈은 어떻게 해야 할까?

 눈은 우리 생활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체 기관입니다. 콘택트렌즈를 잘못 사용하면 초반에는 충혈이 생기는 등의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지만 지속되는 경우에는 시력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눈이 충혈되면 콘택트렌즈의 착용을 바로 중단해야 합니다. 그리고 빠른 시간 내에 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아 보는 것이 좋습니다. 

충혈을 예방하는 방법은?

 충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아래 사항들을 꼭 지켜 콘택트렌즈를 착용해야 합니다.

  • 콘택트렌즈의 권장 사용시간을 지킨다.( 소프트렌즈, 하드렌즈 최대 8시간 / 서클렌즈 최대 4시간)
  • 일회용 콘택트렌즈를 여러 번 사용하지 않는다.
  • 렌즈를 만질 때는 손을 깨끗하게 씻어준다.
  • 각막도 사람에 따라 모두 다르기 때문에 렌즈를 구입할 때는 안과를 찾아 의사와 상의 후 자신에게 맞는 렌즈를 구입한다.
  • 렌즈를 착용한 채 잠을 자지 않는다.
  • 산소를 많이 공급받을 수 있는 (산소투과율이 높은) 렌즈를 사용한다.
  • 결막염이나 눈에 문제가 생겼을 때 사용했던 렌즈를 재사용하지 않는다.
  • 렌즈를 보관하는 통은 주기적으로 바꿔주고 렌즈 역시 식염수를 사용하여 꼼꼼하게 세척해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