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건강백서

입안에서 느껴지는 짠맛 원인과 질병은?

by Hany 2022. 3. 21.
반응형

 우리는 여러 가지 음식을 먹으면서 혀를 통해 단맛, 짠맛, 신맛 등을 느낍니다. 하지만 일상생활을 하며 특별히 먹은 것이 없는데도 입안에서 어떤 특정한 맛이 느껴져 신경이 쓰일 때가 있습니다. 그중 특히 입안에서 짠맛을 느끼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오늘은 입안에서 짠맛이 느껴진다면 의심해봐야 할 여러 가지 원인과 질병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진 pixabay

1. 과로, 스트레스

 입안에서 짠맛이 느껴진다면 우선 평소 과로하여 몸이 피곤하지는 않은지, 스트레스로 인해 신경 쓰고 있는 것은 없는지 잘 살펴보아야 합니다. 과로나 스트레스로 인하여 몸이 피곤해지면 침샘에서 분비되는 침의 양이 줄게 되고 입안이 마르게 됩니다. 또한 침속에 분비되는 여러 가지 면역물질의 양이 줄게 되면서 입안이 짜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럴 경우에는 우선 몸이 피곤하지 않게 해주는 것이 중요하고 스트레스 받는 것을 최대한 줄여줍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스트레스를 받는 환경으로부터 벗어나기 쉽지 않으므로 평소에 물을 자주 마셔주고 햇빛을 쐬면서 자주 산책하여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도록 합니다.

2. 입냄새

 입냄새는 여러가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입안에 짠맛이 느껴진다면 평소 이를 닦는 습관을 점검해주는 것이 좋고 혹시 이 사이사이 음식물이 끼어 있는지 잘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칫솔이 닿기 어려운 어금니 사이는 치실을 사용하여 한번 더 깨끗하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혓바닥도 깨끗하게 닦아주어 입안이 텁텁하지 않도록 유지하고 백태(혓바닥에 하얗게 되는 것)가 끼지 않게 해 줍니다.

3. 잇몸병(잇몸 출혈, 염증)

 잇몸이 약해진 경우에는 음식을 먹거나 이를 닦은 후에 잇몸에서 피가 날 수 있습니다. 이때 우리는 잇몸에서 나오는 미세한 출혈을 통하여 입안에서 짠맛을 동반한 비릿한 맛을 느낍니다. 더불에 입속에 염증이 있는 경우에도 짠맛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일시적인 현상으로 피가 날 수 있으나 경우가 지속된다면 우선 입안을 살펴보면서 잇몸이 부어있지는 않은지 혹시 혀나 볼 안쪽, 잇몸에 염증이 생기지는 않았는지 천천히 둘러보고 병원에 내원하거나 적절한 약을 섭취하여 줍니다.

4. 후비루

 후비루는 코 주위에서 분비되는 점액의 양이 많아지거나 지나지게 끈적해지면서 목에 고이거나 넘어가는 질환입니다. 후비루는 입냄새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고 보통 축농증이나 비염 등 기관지 질환을 가지고 계신 분들에게 잘 생기는 증상입니다. 후비루의 경우도 입안에서 짠맛이 느껴지게 되며 보통 기침이 동반됩니다. 또한 목 넘김이 불편한 경우에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후비루를 일으키는 원인은 여러 가지이므로 비염 증상은 없는지, 알레르기나 기침, 속 쓰림 등 다른 불편한 증상이 동반되는지 정확하게 인지하고 병원을 찾아 상담해야합니다. 상태에 따라 약물치료, 수술, 코 세척 등 치료 방법을 통하여 환화시킬 수 있습니다.

5. 구함증

 구함증은 입안, 잇몸 사이에서 짠맛이 느껴지고 어떤 음식을 먹어도 짠맛이 강하게 느껴지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구함증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누어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 형태로는 짠맛과 더불어 혀 통증이 동반되는 경우입니다. 처음에는 입안에서 짠맛을 자주 느끼게 되는데 여기서 그치지 않고 혀가 따갑거나 열이 나게 됩니다. 이 경우에는 '구강작열감 증후군'으로 악화될 수도 있습니다. 특히 중년의 갱년기, 폐경기 여성에게서 자주 나타나는 증상이므로 평소에 뜨겁고 자극적인 음식 섭취를 피하고 차가운 물을 입에 머금에 열을 식혀주는 것이 도움 됩니다. 정도가 심해지면 병원을 찾아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두 번째 형태로는 통증 없이 짠맛이 계속 느껴지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에는 신장(콩팥)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신허증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신허증은 대체로 우리 몸의 면역체계에 이상이 있거나 큰 병을 앓는 경우, 노화에 의해 신장 기능이 떨어진 경우에 나타나게 됩니다. 따라서 신장에 무리가 가는 생활 습관을 개선하고 채소나 베리류의 신선 식품을 자주 섭취해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