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리코박터균은 CF를 통해 일상 속에서 흔하게 들어볼 수 있는 세균입니다. 비교적 전염이 쉬운 균 중에 하나로 우리나라도 많은 사람이 감염되어 있습니다. 위장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는 특히 악영향을 미치는 헬리코박터균이 어떻게 전염되는지 알아보고 증상과 치료 방법에 대해서도 살펴봅니다.
헬리코박터균이란?
헬리코박터균은 위 점막층과 점액 사이에서 서식하는 세균입니다. 우리 위에서 기생하면서 위염, 위궤양, 위암 등을 일으키는 원인이 됩니다. 사람에 따라서는 혈액질환, 편두통, 불임, 두드러기 등 질환의 발병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도 보고되고 있습니다. 헬리코박터균은 매우 흔하게 감염되어 있는 세균 중 하나로 전 세계 50% 이상의 인구가 감염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60% 이상이 감염되어 있고 나이가 많은 사람일수록 감염되어 있을 확률이 높아집니다.
헬리코박터균 어떻게 전염되나요?
헬리코박터균은 위생상태가 좋지 않은 환경에 거주하는 사람일수록 감염될 확률이 높은 세균입니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전염되는 경우, 수돗물이나 분변을 통해서 감염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 전염되는 경우,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되어 있는 사람과 구강, 항문으로 접촉하였을 경우 쉽게 감염됩니다. 특히 어린아이의 경우에는 음식물을 씹고 뱉어 아이의 입에 넣어줄 때 감염 위험이 생길 수 있습니다. 수돗물이나 분변은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된 사람으로부터 배출된 물, 음식물을 통해서 감염 위험이 생깁니다.
헬리코박터균 증상은 무엇인가요?
헬리코박터균에 감염이 되면 거의 대부분의 사람이 예외 없이 위장 부위에 염증을 일으키게 됩니다. 감염 초기에는 명치나 복부 주위에 가벼운 통증이나 약한 몸살이 나타나고 되게는 특별한 증상 없이 시간이 지나 저절로 좋아지게 됩니다. 좋아진 이후에도 균은 오랫동안 위장에 머물면서 만성적으로 위염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때에도 특별한 증상이 느껴지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헬리코박터균은 위궤양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위험군자에 속한 사람(이전에 위궤양을 앓았던 적이 있는 사람, 악성 림프종양이 있는 사람, 초기 위암 환자 등)은 적절한 검사를 통해 치료해야 합니다.
헬리코박터균 검사와 치료방법은?
헬리코박터균은 내시경, 혈액, 대소변 검사를 통해서 쉽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건강한 사람의 경우 대게 특별한 증상 없이 저절로 좋아지는 경우가 많아 환자 전부를 치료하는 것은 아니며 위험군자에 속한 사람(이전에 위궤양을 앓았던 적이 있는 사람, 악성 림프종양이 있는 사람, 초기 위암 환자 등)을 위주로 강력한 항생제를 투여하여 제균요법을 시행합니다. 항생제 부작용을 겪은 경험이 있다면 치료 시 의시에게 알려야 합니다.
'건강 > 건강백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식 증상과 발작 응급처치 및 예방 (0) | 2022.06.10 |
---|---|
갑자기 어지러운 이석증, 정확한 증상과 자가치료 (0) | 2022.06.09 |
지독한 방귀 냄새 유발 음식 (0) | 2022.06.03 |
뱃살과 난소암의 차이, 검사 방법과 종류 (0) | 2022.05.27 |
식중독 두드러기와 식중독지수 (0) | 2022.05.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