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몸에서 가장 열심히 일하는 발, 하지만 발은 얼굴과 손 등 다른 부위에 비해 관리가 소홀해지기 쉽습니다. 특히 하루 종일 신발을 신고 일하면 발이 습해지고 무좀이 생기기 쉬운데 무좀도 형태에 따라 지간형, 수포형 등 그 증상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무좀의 재발과 전염 위험성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무좀이란?
무좀은 백선이라고도 부르며 피부사상균에 의해 감염된 피부 염증을 말합니다. 보통 발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지만 몸, 사타구니, 두피, 얼굴, 손, 손발톱 등 다양한 신체 부위에서 나타납니다. 발바닥과 발가락 사이에 발생하는 무좀은 우리나라 무좀 환자 중 23~48%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로 남성에게서 많이 나타나지만 드물게 어린아이의 발에서도 발생합니다. 무좀을 일으키는 피부사상균은 간단하게 생각하면 곰팡이균입니다. 곰팡이 종류에 따라 적색 백선균, 백색 종창균, 유모 표피 사상균 등이 있으며 적색 백선균이 무좀 환자에게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곰팡이 균입니다.
무좀 종류가 다른가요? (수포형 무좀 정확하게 알기)
무좀은 나타나는 무좀 형태에 따라 지간형, 수포형, 각화형으로 구분합니다.
1. 지간형 무좀
지간형 무좀은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무좀의 형태로 4번째 5번째, 3번째 4번째 발가락에서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이는 3~5번째 발가락이 공기가 잘 통하지 않고 습기가 높기 때문입니다.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은 가려움증을 동반한 발 냄새입니다. 지간형 무좀은 발가락 사이에 피부가 짓무르고 건조되면 각질이 생깁니다. 방치하면 양 발가락과 발바닥에 퍼질 수 있고 짓무른 피부를 통해 2차 세균 감염의 위험이 높습니다.
2. 수포형 무좀
수포형은 발 옆(새끼발가락 옆)에 작은 물집이 생기고 이것이 융합되어 크기가 커지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작은 물집은 끈적한 액체로 차있으며 지간형과 다르게 건조되면 두꺼운 황갈색 딱지가 생깁니다. 특히 여름철에 땀이 많이 나면 악화되는 경우가 많고 지간형 무좀과 동일하게 심하게 가려운 증상이 있습니다.
3. 각화형 무좀
각화형 무좀은 발 전체 특히 발바닥 전체에 걸쳐 피부의 각질이 과하게 두꺼워지며 고운 가루나 큰 덩어리째 떨어집니다. 지간형, 수포형과는 다르게 가려움증이 심하지 않아 만성적으로 오래 방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은 3가지 무좀의 형태가 같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정확하게 나누기는 어렵습니다. 특히 손톱과 발톱에 무좀이 생긴 경우에는 치료가 잘되지 않아 재감염이 비교적 쉽게 일어납니다.
수포형 무좀 재발하기 쉬운 가요?
수포형 무좀과 더불어 모든 유형의 무좀은 치료 후에도 양말, 신발 등에 남아 있는 곰팡이균에 의해 재발하는 경우가 아주 흔합니다. 따라서 양말과 신발 등 발이 닿는 것을 자주 세탁하고 깨끗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어떤 상황에서 발생, 전염되나요?
구두와 양말을 오랫동안 착용하는 경우 발의 습도가 높은 상태로 유지되면서 무좀이 발생하는 경우가 흔하고 특히 특정 직업군(군인, 소방관 등)에서 발생률이 매우 높습니다. 겨울보다는 날씨가 덥고 습한 여름에 많이 발생합니다.
보통은 목욕탕, 수영장 등에서 무좀 환자로부터 떨어진 각질에 의해 발로 전염되며 한번 감염되면 흔하게 재발하고 같은 공간에서 생활하는 가족들에게 옮기기도 합니다.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병원을 찾아 진단, 치료를 먼저 해야 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연고 등의 처방을 받아 사용합니다. 매일 발을 깨끗하게 씻어주어야 하며 운동을 하거나 발에 땀을 흘렸다면 바로 발을 씻어 주어야 합니다. 씻은 후에는 반드시 발가락 사이사이를 잘 말려 건조해 주어야 합니다. 발을 꽉 조이는 신발은 피하고 통풍이 잘되는 신발을 신고 너무 낡은 신발이나 다른 사람이 신던 신발은 감염 위험이 있으니 피해야 합니다.
만약 가족 중에 무좀 환자가 있다면 무좀 환자의 수건과 양말을 다른 가족들과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고 아이에게 전염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건강 > 건강백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과 치석 스케일링 건강보험 적용 여부와 비용 (0) | 2022.11.28 |
---|---|
무증상 혈뇨 꼭 검사 받아야 하나? (0) | 2022.11.25 |
요단백 약양성 꼭 다시 검사 받아야 할까? (0) | 2022.11.17 |
폐 섬유화 회복 가능할까? (0) | 2022.11.16 |
파상풍 주사 효력 언제까지 괜찮을까? 치사율은? (0) | 2022.10.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