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들면 젊었을 때는 멀게만 느껴졌던 여러 가지 질병이 피부에 와닿기 시작한다. 50대, 60대가 되면 주변에 혈압이나 당뇨가 없는 사람을 찾기 힘들다. 특히 혈압이 높은 경우 뇌출혈, 뇌졸중, 심근경색등 합병증이 나타나기 때문에 주의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 우리 몸은 서서히 노화되면서 나이에 맞는 건강 기준들도 조금씩 달라지는데 혈압 역시 나이에 따라 그 기준이 달라진다. 50대, 60대 정상 혈압의 범위는 얼마일까?
혈압이란?
혈압이란 무엇인가? 간단히 설명하면 혈관 내의 압력이다. 심장이 몸 전체로 혈액을 통해 산소와 영양성분을 공급할 때 혈액이 혈관벽에 가하는 압력의 수치를 나타낸 것이다. 심장이 수축할 때(피를 내보낼 때) 측정되는 혈압은 수축기 혈압, 심장이 이완하며 피가 들어오면 이완기 혈압이라고 한다. 혈압을 잴 때 높은 수치의 숫자는 수축기 혈압, 낮은 수치의 숫자는 이완기 혈압이다.
50대, 60대 정상 혈압의 범위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정상 범위의 혈압은 수축기 120mmhg 미만 / 이완기 80mmhg이다. 고혈압은 140mmhg 초과/ 90mmhg 초과이며 저혈압은 90mmhg 이하/ 60mmhg 미만이다. 고혈압 주의 단계는 수축기 혈압 140mmhg를 초과하지 않았으나 120mmhg 이상, 이완기 혈압 80mmhg을 초과했을 때를 말한다.
다만 위의 수치는 건강한 20대의 성인을 기준으로 한 것이고 나이가 들면 해당 기준도 자연스럽게 변화되기 마련이다. 50대, 60대 혹은 그 이상의 정상 혈압 범위는 다음과 같다.
40대 여자 | 122-126mmhg / 77-80mmhg | 40대 남자 | 127-131mmhg / 82-84mmhg |
50대 여자 | 131-138mmhg / 82-86mmhg | 50대 남자 | 135-143mmhg / 86-88mmhg |
60대 여자 | 145mmhg / 90mmhg | 60대 남자 | 145mmhg / 90mmhg |
70대 여자 | 150mmhg / 90mmhg | 70대 남자 | 150mmhg / 90mmhg |
표를 참고해서 보면 꼭 50대라고 해서 135-143mmhg / 86-88mmhg (남자기준)이 나와야 하는 것은 아니고 일반적으로 정상범위로 생각되는 120mmhg / 80mmhg부터 표의 해당 수치까지를 정상범위라고 보면 된다. 혈압의 경우 현재 자신이 측정하는 장소, 몸 상태 등에 따라 영향을 받기 때문에 2회 이상 측정하여 얻은 평균값으로 고혈압 및 저혈압을 진단한다.
정상 혈압이 왜 중요한가요?
혈압이 높거나 낮다고 해서 지금 당장 자신이 느끼는 변화는 없을 수 있다. 단, 혈압이 정상범위에서 벗어나게 되면 고혈압, 저혈압으로 인해 합병증을 얻을 수 있다.
고혈압의 경우 뇌졸중, 협심증, 심근경색, 신부전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고 저혈압의 경우 어지러움, 호흡곤란, 가슴 두근거림, 쇼크, 실신 등의 합병증을 유발한다. 따라서 평상시에 정상 혈압을 유지하며 건강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혈압 건강을 위한 운동
혈압 치료를 위해서는 보통 약물 치료를 하게 되는데 약물과 더불어 생활 습관도 개선해야 한다.
고혈압
고혈압을 위한 운동은 자전거, 걷기, 조깅, 수영과 같은 지구력을 증진시키는 운동이 도움이 된다. 갑자기 폭발적인 힘을 단기간에 쓰면서 하는 운동은 하지 말아야 하고 운동시간은 보통 30분에서 1시간, 운동강도는 중간 정도에서 꾸준하게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저혈압
저혈압을 가진 사람은 무리하게 운동하는 것이 좋지 않다. 따라서 간단한 스트레칭, 저강도 요가가 좋고 또한 근육을 만들어 주는 것도 중요하다. 고강도로 근육 만들기를 하면 갑자기 쓰러질 수 있기 때문에 가벼운 무게의 근력 운동 기구와 본인이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천천히 운동해주어야 한다.
'건강 > 건강백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턱관절 장애 자가치료 괜찮을까? (0) | 2023.11.04 |
---|---|
지루성 피부염 완치 가능할까? (0) | 2023.10.28 |
치질 수술 후 배변, 왜 이럴까? (0) | 2023.09.09 |
20대 새는 소변, 요실금일까? (0) | 2023.01.30 |
겨울철 발가락 부움과 간지러움, 방치하면.... (0) | 2023.01.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