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운 날씨가 지속되는 여름입니다. 선선했던 저녁시간에 바람 한점 불지 않는 열대야의 날씨에는 잠을 청하지도 못하고 이리저리 설치다 밤을 지새우기도 합니다. 이런 날씨에는 꼭 에어컨을 틀어야 여름을 날 수 있는 힘이 생깁니다. 시스템 에어컨은 한대의 실외기에 여러 에어컨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주로 학교, 병원 등에서 많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아파트에 설치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일 년 중 길어야 4개월 정도 사용하는 에어컨은 긴 시간 동안 방치되면 사용할 때 걸레 냄새나 하수구 냄새가 나기도 하는데 오늘은 천정형 시스템 에어컨에서 나는 하수구 걸레 냄새의 원인과 냄새 제거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합니다.
천정형 시스템 에어컨 냄새 원인은?
보통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하지 않은 에어컨의 경우에는 제품 내부에 이물질이 많이 쌓인 경우입니다. 특히 필터 부분과 날개 부분에 먼지가 가득 쌓이면 쾌쾌한 냄새가 나기 쉽습니다. 또한 습기가 잘 제거되지 않고 먼지가 쌓이면 곰팡이, 세균이 번식하여 걸레 냄새와 하수구 냄새가 나게 됩니다.
냄새 제거 방법은?
걸레 냄새와 하수구 냄새를 원활하게 제거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필터 청소
가장 기본적은 방법은 필터 청소입니다. 에어컨에서 먼지를 걸러주는 필터를 분리하여 깨끗하게 청소한 뒤 습기가 남지 않도록 말려줍니다. 필터 청소를 하지 않으면 쌓인 먼지로 인하여 에어컨 소음과 쾌쾌한 냄새가 심해지니 2주일에 1번씩 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송풍 운전으로 배인 냄새 없애기
에어컨을 켠 채로 생활하게 되면 아무래도 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냄새가 필터에도 배일 수 있고 곰팡이 냄새와 더불어 하수구 냄새가 더욱 심해질 수도 있습니다. 이때에는 에어컨 내부에 배어 있는 냄새를 빼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에어컨에 배인 냄새는 문을 연 상태에서 송풍 운전으로 2~3시간 가동하고 냉방으로 사용합니다.
3. 배수 호스 위치 확인
싱크대나 하수구처럼 냄새가 올라오는 부분에 호스가 위치해 있으면 에어컨에서 하수구나 걸레 냄새가 나기도 합니다. 따라서 배수 호스의 위치를 확인하고 싱크대와 하수구를 피해 냄새가 나지 않는 부분으로 옮겨줍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가 자동 무인 주차 시스템 종류 (0) | 2022.07.26 |
---|---|
만 65세 이상 고용보험 가입과 실업급여 (0) | 2022.07.20 |
알뜰폰 삼성페이 및 티머니 교통카드 사용하기 (0) | 2022.07.08 |
프리랜서 주휴수당 받을 수 있을까? (0) | 2022.07.05 |
GS25 편의점 알뜰폰 만원 이하 요금제(리얼 사용 후기까지) (0) | 2022.07.01 |
댓글